

- 홈
- 단지정보
※ 그 밖의 공용
- - 관리사무소(별동):㎡
- - 경비실(별동): ㎡
- - 경로당(별동): ㎡
- - 보육시설(별동): ㎡
- - 기타 공용부분(별동): ㎡
※ 그 밖의 공용
- - 관리사무소(별동):㎡
- - 경비실(별동): ㎡
- - 경로당(별동): ㎡
- - 보육시설(별동): ㎡
- - 기타 공용부분(별동): ㎡
명칭 | |
법정동주소 | |
분양형태 | |
난방방식 | |
연면적 | ㎡ |
동수 / 세대수 | |
시공사 / 시행사 | |
관리사무소연락처(FAX) | |
홈페이지주소 |
》난방방식
지역난방
일정한 지역을 관할하는 발전소가 인근 아파트단지 및 주거지역으로 열을 공급하는 방식
중앙난방
단지 내 대형보일러를 통해 각 세대로 공급하는 방식
개별난방
각 세대별 소형보일러를 설치해 난방과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
지역난방
일정한 지역을 관할하는 발전소가 인근 아파트단지 및 주거지역으로 열을 공급하는 방식
중앙난방
단지 내 대형보일러를 통해 각 세대로 공급하는 방식
개별난방
각 세대별 소형보일러를 설치해 난방과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
》공동주택면적
주거전용
세대가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면적
주거공용
동 건물의 복도∙계단∙현관∙승강기 등 공동주택 지상층에 있고 해당동의 입주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면적
그 밖의 공용
주거공용면적을 제외한 지하층∙관리사무소∙경비실∙경로당∙보육시설∙주민공동시설 등 공동주택단지 안 전체 입주자 등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면적
주거전용
세대가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면적
주거공용
동 건물의 복도∙계단∙현관∙승강기 등 공동주택 지상층에 있고 해당동의 입주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면적
그 밖의 공용
주거공용면적을 제외한 지하층∙관리사무소∙경비실∙경로당∙보육시설∙주민공동시설 등 공동주택단지 안 전체 입주자 등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면적
》관리비부과면적
공동주택 관리규약∙위수탁 관리계약서를 참고로 면적산정
공동주택 관리규약∙위수탁 관리계약서를 참고로 면적산정
단지분류 | |
도로명주소 | |
관리방식 | |
복도유형 | |
사용승인일 | |
주거전용면적 | ㎡ |
면적별 세대현황 (전용면적 기준) |
60㎡ 이하:
60㎡ ~ 85㎡ 이하:
85㎡ ~ 135㎡ 이하:
135㎡ 초과:
|
K-apt 가입일 |

일반관리 | |
경비관리 | |
청소관리 | |
소독관리 |

건물구조 | |
세대전기계약방식 |
|
화재수신반방식 |
|
승강기관리형태 | |
주차대수 | |
CCTV대수 | |
부대·복리시설 |
수전용량 | |
전기안전관리자법정선임여부 | |
급수방식 |
|
승강기종류/대수 | |
주차관제·홈네트워크 |

버스정류장 | |
편의시설 |
지하철 | |
교육시설 |
》세대전기계약방법
단일계약
공동설비 사용량을 포함한 전체 사용전력량을 주택용전력 적용대상 호수로 나누어서 평균사용량을 산출하고 이에 대한 기본요금 및 전력량요금에 주택용전력 적용대상 호수를 곱한 것을 주택용전력 적용대상 전체 기본요금 및 전력량요금으로 하는 방법입니다.
종합계약
아파트 1구내에 고압 이상의 전압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세대별 사용량은 저압요금을 적용하며, 공동설비 사용량은 일반용(갑) 고압요금을 적용하여 요금을 계산하는 계약 방법입니다.
단일계약
공동설비 사용량을 포함한 전체 사용전력량을 주택용전력 적용대상 호수로 나누어서 평균사용량을 산출하고 이에 대한 기본요금 및 전력량요금에 주택용전력 적용대상 호수를 곱한 것을 주택용전력 적용대상 전체 기본요금 및 전력량요금으로 하는 방법입니다.
종합계약
아파트 1구내에 고압 이상의 전압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세대별 사용량은 저압요금을 적용하며, 공동설비 사용량은 일반용(갑) 고압요금을 적용하여 요금을 계산하는 계약 방법입니다.
》난방방식
중앙난방 : 단지내 대형보일러가 설치된 중앙기계실에서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개별난방 : 각 세대마다 보일러 설치해 난방과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지역난방 : 열병합 발전소에서 얻어지는 열을 인근 아파트단지 및 주거 지역으로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중앙난방 : 단지내 대형보일러가 설치된 중앙기계실에서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개별난방 : 각 세대마다 보일러 설치해 난방과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지역난방 : 열병합 발전소에서 얻어지는 열을 인근 아파트단지 및 주거 지역으로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화재수신반방식
감지기 및 발신기로부터 수신된 화재신호를 표시하고, 경종 및 비상방송을 발하여 화재장소를 알려주는 경보설비와 소화설비 및 제연설비를 총괄 감시 제어하는 장치로 공통신호를 수신하는 P형과 고유신호를 수신하는 R형으로 구분합니다.
감지기 및 발신기로부터 수신된 화재신호를 표시하고, 경종 및 비상방송을 발하여 화재장소를 알려주는 경보설비와 소화설비 및 제연설비를 총괄 감시 제어하는 장치로 공통신호를 수신하는 P형과 고유신호를 수신하는 R형으로 구분합니다.
》복도유형
계단식 : 계단 양측으로 2가구씩 배치된 방식입니다.
복도식 : 동일 층의 모든 세대가 복도를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혼합식 : 하나의 계단에 3가구 이상 배치된 방식입니다.
계단식 : 계단 양측으로 2가구씩 배치된 방식입니다.
복도식 : 동일 층의 모든 세대가 복도를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혼합식 : 하나의 계단에 3가구 이상 배치된 방식입니다.
》급수방식
고가수조식
고가 수조에 양수하여 자연 흐름에 의해 필요한 장소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부스타방식
지하저수조에 물을 받아서 펌프를 여러대 설치하고 아래층부터 올라가면서 급수하는 방식으로 센서에서 압력을 감지하여 가동펌프 수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수도직결식
수도 본관에서 수도 인입관에 의해 직접 접속 분기하여 건물 내의 소요 장소에 급수하는 방식으로 수도의 압력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2층 건물 정도의 주택, 소규모 건물에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입력탱크식
지하 저수조에 물을 받아서 압력탱크를 설치하고, 압축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밀어 넣어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급수하는 방식입니다.
고가수조식
고가 수조에 양수하여 자연 흐름에 의해 필요한 장소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부스타방식
지하저수조에 물을 받아서 펌프를 여러대 설치하고 아래층부터 올라가면서 급수하는 방식으로 센서에서 압력을 감지하여 가동펌프 수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수도직결식
수도 본관에서 수도 인입관에 의해 직접 접속 분기하여 건물 내의 소요 장소에 급수하는 방식으로 수도의 압력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2층 건물 정도의 주택, 소규모 건물에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입력탱크식
지하 저수조에 물을 받아서 압력탱크를 설치하고, 압축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밀어 넣어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급수하는 방식입니다.
(
주거전용면적: ,
사용승인일 : ,
동수 : ,
세대수 :
)

<년 월 기준>
(단위: 원/㎡, 주거전용면적기준)



녹색건축/에너지효율등급인증 |
|
건축물연간에너지사용량등급 |
》녹색건축인증
건축물의 친환경 성능을 평가하는 제도로서, 최우수등급이 가장 높은 등급입니다.
》에너지효율등급인증
건축물에 사용되는 에너지 소요량을 평가하는 제도로서, 1+++ 등급에 가까울수록 에너지 소요량이 적습니다.
건축물의 친환경 성능을 평가하는 제도로서, 최우수등급이 가장 높은 등급입니다.
》에너지효율등급인증
건축물에 사용되는 에너지 소요량을 평가하는 제도로서, 1+++ 등급에 가까울수록 에너지 소요량이 적습니다.
》건축물 연간에너지 사용량 등급
단지 내 해당 평형의 평균적인 에너지사용량으로 A등급에 가까울수록 연간사용량이 적습니다.
단지 내 해당 평형의 평균적인 에너지사용량으로 A등급에 가까울수록 연간사용량이 적습니다.
해당 공동주택은 녹색건축인증 및 에너지효율등급인증을 받지 않은 단지로서녹색건축 및 에너지정보 검색이 제한되오니 양해바랍니다.
해당 공동주택은 건축물 연간에너지 사용량 등급을 받지 않은 단지로서녹색건축 및 에너지정보 검색이 제한되오니 양해바랍니다.

우리단지 기본사항 소개 |
---|
교통, 교육, 문화시설 및 주거편의시설 등 주거환경 |
공동체활성화 활동 등 주민자치 활동 |
다른 단지와 차별되는 특이사항 |
총 : 건
단지명 | 동명 | 호명 | 주택인도일 |